본문 바로가기
디지털 미니멀리즘

디지털 미니멀리즘으로 삶을 정리하는 법 ③ - 스마트폰과 앱 정리하기: 필요한 것만 남기는 법

by 달개비꽃 2025. 7. 19.

 

불필요한 앱이 디지털 피로를 유발한다

스마트폰에는 무의식적으로 설치한 앱이 쌓여갑니다. 알림, 배터리 소모, 데이터 낭비, 집중력 저하 등 대부분의 피로는 이러한 앱들에서 비롯됩니다.

디지털 미니멀리즘의 실천은 단순히 '앱을 지우는 것'이 아닌, 필요 없는 디지털 요소를 선별해 정리하고 삶의 우선순위를 재설정하는 과정입니다.

1단계 - 사용하지 않는 앱 확인

다음 기준으로 불필요한 앱을 식별하세요:

  • 최근 30일 이내 사용하지 않은 앱
  • 같은 기능을 하는 중복 앱 (예: 메모 앱, 사진 편집 앱 등)
  • 충동적으로 설치한 쇼핑, 게임, SNS 앱

아이폰은 '설정 → 일반 → iPhone 저장 공간'에서, 안드로이드는 '설정 → 애플리케이션 → 사용 통계'를 통해 사용 빈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2단계 - 앱 분류하기: 꼭 필요한 앱만 남기기

앱을 아래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눠보세요:

  • 필수 앱: 은행, 교통, 메신저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앱
  • 유용하지만 자주 쓰지 않는 앱: 가끔 필요한 도구성 앱 (날씨, 번역기 등)
  • 시간을 잡아먹는 앱: SNS, 게임, 쇼핑, 뉴스, 숏폼 영상 앱

마지막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앱은 삭제하거나, 최소한 홈 화면에서 제거하세요.

3단계 - 홈 화면과 폴더 구성 최적화

스마트폰 홈 화면은 디지털의 첫인상입니다.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리해보세요:

  • 첫 화면에는 필수 앱 4~6개만 배치
  • 나머지는 기능별로 폴더 구성 (예: 금융, 생활, 건강 등)
  • 시간 낭비 앱은 맨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앱 서랍에 숨기기

시각적 노출을 줄이면 사용 빈도도 자연스럽게 감소합니다.

4단계 - 알림 설정 재정비하기

알림은 스마트폰 중독의 가장 강력한 유인입니다. 아래와 같이 설정을 정리하세요:

  • 중요한 앱만 알림 허용 (예: 문자, 일정, 메신저)
  • 광고성 알림은 모두 OFF
  • 앱별로 '소리만', '배너만', '완전 차단' 등 세부 설정

하루 알림 횟수 50회 이상이라면, 디지털 피로가 심각한 수준일 수 있습니다.

5단계 - '삭제'가 어렵다면 '제한'하자

당장 앱을 삭제하는 것이 어렵다면 아래 방법으로 사용을 제한해보세요:

  • 앱 타이머 설정 (하루 30분 사용 제한)
  • 앱 잠금 기능 활용 (비밀번호 또는 지문 잠금)
  • 주말이나 저녁 시간대 '집중 모드' 켜기

제약을 걸면 처음에는 불편하지만, 시간이 지나면 디지털 해방감을 경험하게 됩니다.

작은 변화가 일상을 바꾼다

앱 몇 개만 정리했을 뿐인데, 휴대폰을 덜 열어보게 되고, 알림에 덜 휘둘리게 됩니다. 이것이 바로 디지털 미니멀리즘의 시작이며, 작은 실천이 삶의 질을 바꾸는 열쇠입니다.

👉 다음 글 예고: ④ SNS 줄이기 - 관계를 정리하고 집중을 되찾는 법